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2018년 8월 10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남자 축구와 여자 축구로 나뉘어 경기가 치러졌다. 남자 축구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아랍에미리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축구에서는 일본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은 인도네시아에서 31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 2018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
2018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은 2018년 8월 1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렸으며,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오토바이 퍼포먼스로 시작하여 남북 선수단의 공동 입장으로 주목받았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은 인도네시아에서 31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 |
---|---|
대회 개요 | |
종목 | 축구 |
대회 | 2018년 아시안 게임 |
![]() | |
개최지 | 인도네시아 전역 6개 경기장 |
기간 | 2018년 8월 10일 – 9월 1일 |
참가 정보 | |
참가 팀 수 | 남자 25개 팀, 여자 11개 팀 |
이전 대회 | 2014 |
다음 대회 | 2022 |
메달 정보 | |
금메달 | (남자), (여자) |
은메달 | (남자), (여자) |
동메달 | (남자), (여자) |
남자 축구 | |
참가 팀 수 | 25 |
경기 장소 수 | 4 |
도시 수 | 4 |
우승 | (5회 우승) |
경기 수 | 56 |
득점 수 | 165 |
여자 축구 | |
참가 팀 수 | 11 |
경기 장소 수 | 2 |
도시 수 | 1 |
우승 | (2회 우승) |
경기 수 | 23 |
득점 수 | 135 |
2. 일정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2018년 8월 10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남자 축구는 8월 10일부터 조별 리그를 시작하여 9월 1일에 결승전이 열렸고, 여자 축구는 8월 16일부터 조별 리그를 시작하여 8월 31일에 결승전이 열렸다. 각 경기는 조별 리그, 16강전, 8강전, 4강전, 동메달전,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UTC+7) 기준이다.
종목 | 8월 10일 | 8월 11일 | 8월 12일 | 8월 13일 | 8월 14일 | 8월 15일 | 8월 16일 | 8월 17일 | 8월 18일 | 8월 19일 | 8월 20일 | 8월 21일 | 8월 22일 | 8월 23일 | 8월 24일 | 8월 25일 | 8월 26일 | 8월 27일 | 8월 28일 | 8월 29일 | 8월 30일 | 8월 31일 | 9월 1일 | |
---|---|---|---|---|---|---|---|---|---|---|---|---|---|---|---|---|---|---|---|---|---|---|---|---|
남자 축구 | 리그 | 리그 | 리그 | 리그 | 16강 | 8강 | 4강 | ● | ● | |||||||||||||||
여자 축구 | 리그 | 리그 | 리그 | 8강 | 4강 | ● | ● |
다음 경기장에서 개최된다.[4]
3. 경기장
남자 축구 경기는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농, 수용인원: 30,000명),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시카랑, 수용인원: 28,000명), 파트리엇 스타디움(부카시, 수용인원: 30,000명), 자락하라팟 스타디움(소레앙, 수용인원: 27,000명)에서 개최되었다.
여자 축구 경기는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수용 인원: 23,000명)과 부미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수용 인원: 7,000명)에서 개최되었다.
3. 1. 남자 축구
2018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경기는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농, 수용인원: 30,000명),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시카랑, 수용인원: 28,000명), 파트리엇 스타디움(부카시, 수용인원: 30,000명), 자락하라팟 스타디움(소레앙, 수용인원: 27,000명)에서 개최되었다.
3. 2. 여자 축구
여자 축구 경기는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수용 인원: 23,000명)과 부미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수용 인원: 7,000명)에서 개최되었다.
4. 참가국
4. 1. 남자 축구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는 총 25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이 A조부터 F조까지 6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A조:''' 인도네시아(개최국), 홍콩, 라오스, 중화 타이베이, 팔레스타인
- '''B조:''' 태국,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카타르
- '''C조:''' 중국, 아랍에미리트, 시리아, 동티모르
- '''D조:''' 일본, 베트남, 파키스탄, 네팔
- '''E조:''' 대한민국(디펜딩 챔피언),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바레인
- '''F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미얀마
각 조는 아시아 축구 연맹의 여러 지역 연맹 소속 국가들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A조에는 AFF 소속의 라오스와 인도네시아가, EAFF 소속의 중화 타이베이와 홍콩, WAFF 소속의 팔레스타인이 포함되었다. E조에는 EAFF 소속의 대한민국이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했으며, AFF 소속의 말레이시아, WAFF 소속의 바레인, CAFA 소속의 키르기스스탄이 함께 편성되었다.
4. 2. 여자 축구
2018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에는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A조에는 대한민국 (EAFF), 몰디브 (SAFF), 인도네시아 (AFF, 개최국), 중화 타이베이 (EAFF)가 편성되었다. B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EAFF), 중국 (EAFF), 타지키스탄 (CAFA), 홍콩 (EAFF)이 편성되었다. C조에는 베트남 (AFF), 일본 (EAFF), 태국 (AFF)이 편성되었다.5. 조 추첨
2018년 7월 5일 자카르타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어 남녀 각각 조 편성이 결정되었다.[5] 이후 남자부에서 팔레스타인과 아랍에미리트가 빠진 것이 확인되어 7월 25일 재추첨이 실시되었고, 팔레스타인은 A조, 아랍에미리트는 E조에 배정되었다.[6] 남자부는 팀이 2팀 늘어남에 따라 개막일이 당초 8월 14일에서 8월 10일로 앞당겨졌다.[7] 이후, C조에 배정되었던 이라크가 출전을 포기함에 따라 각 조의 팀 수를 최소 4팀으로 유지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또는 아랍에미리트 중 한 팀을 C조로 옮기는 추첨을 실시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아랍에미리트가 C조로 이동하게 되었다.[8]
6. 남자 축구
이 대회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UTC+7) 기준이다.
'''조별 리그'''는 2018년 8월 10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든 참가국은 총 6개 조로 배정되어 조별로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들은 결선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들 중 조별 리그 성적 상위 4개 팀 또한 결선 토너먼트로 진출한다.
결승 토너먼트에는 각 조의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상위 4팀이 진출한다. 각 조 3위 팀끼리 비교할 때는, 5팀이 있는 조의 팀에 대해서는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성적을 제외하고 비교한다.[4]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4 | 3 | 0 | 1 | 11 | 3 | +8 | 9 | 16강 진출 |
2 | 팔레스타인/فلسطينar | 4 | 2 | 2 | 0 | 5 | 3 | +2 | 8 | 16강 진출 |
3 | 홍콩/香港중국어 | 4 | 2 | 1 | 1 | 9 | 5 | +4 | 7 | 16강 진출 |
4 |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 | 4 | 1 | 0 | 3 | 4 | 8 | -4 | 3 | 탈락 |
5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4 | 0 | 1 | 3 | 0 | 10 | -10 | 1 | 탈락 |
2018년 8월 10일, 쁘라보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라오스와 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팔레스타인과 중화 타이베이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8년 8월 12일, 팔레스타인은 라오스를 2-1로 꺾었고, 중화 타이베이는 인도네시아에 0-4로 패했다.
2018년 8월 15일, 홍콩은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대파했고, 인도네시아는 팔레스타인에 1-2로 패했다.
2018년 8월 17일, 홍콩과 팔레스타인은 1-1 무승부를 거두었고, 라오스는 인도네시아에 0-3으로 패했다.
2018년 8월 20일, 인도네시아는 홍콩을 3-1로 꺾었고, 중화 타이베이는 라오스에 0-2로 패하며 A조의 모든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팔레스타인, 홍콩이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며 개최국의 자존심을 지켰다. 팔레스타인은 2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선전했고, 홍콩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조 3위로 16강에 합류했다. 반면, 라오스와 중화 타이베이는 각각 1승 3패, 1무 3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 | 3 | 3 | 0 | 0 | 10 | 0 | +10 | 9 |
2 | 방글라데시/Bangladesh영어 | 3 | 1 | 1 | 1 | 2 | 4 | -2 | 4 |
3 | 태국/Thailand영어 | 3 | 0 | 2 | 1 | 2 | 3 | -1 | 2 |
4 | 카타르/Qatar영어 | 3 | 0 | 1 | 2 | 1 | 8 | -7 | 1 |
2018년 8월 14일, 우즈베키스탄은 방글라데시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태국과 카타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8년 8월 16일, 방글라데시와 태국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카타르는 우즈베키스탄에 0-6으로 대패했다. 이 경기들은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2018년 8월 19일, 방글라데시는 카타르를 1-0으로 꺾었고, 태국은 우즈베키스탄에 0-1로 패배했다. 방글라데시와 카타르의 경기는 패트리어트 스타디움에서, 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최종 결과, 우즈베키스탄과 방글라데시가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3전 전승을 기록,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여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3 | 3 | 0 | 0 | 11 | 1 | +10 | 9 |
2 | 시리아/시리아ar | 3 | 2 | 0 | 1 | 6 | 5 | +1 | 6 |
3 | 아랍에미리트/아랍에미리트ar | 3 | 1 | 0 | 2 | 5 | 4 | +1 | 3 |
4 | 동티모르/동티모르tet | 3 | 0 | 0 | 3 | 3 | 15 | -12 | 0 |
2018년 8월 14일 16:00 (UTC+7)에 '''중국'''은 '''동티모르'''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9:00 (UTC+7)에는 '''아랍에미리트'''가 '''시리아'''에 0-1로 패배했다.
2018년 8월 16일 16:00 (UTC+7)에 '''동티모르'''는 '''아랍에미리트'''에 1-4로 패배했다. 같은 날 19:00 (UTC+7)에 '''시리아'''는 '''중국'''에 0-3으로 완패했다.
2018년 8월 19일 19:00 (UTC+7), '''동티모르'''는 '''시리아'''에 2-5로 패배했다. 같은 시각, '''아랍에미리트'''는 '''중국'''에 1-2로 석패했다.
결과적으로 '''중국''', '''시리아''',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중국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반면, 동티모르는 3전 전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베트남/Việt Namvi | 3 | 3 | 0 | 0 | 6 | 0 | +6 | 9 |
2 | 일본/にほん일본어 | 3 | 2 | 0 | 1 | 5 | 1 | +4 | 6 |
3 | 파키스탄/پاکستانur | 3 | 1 | 0 | 2 | 2 | 8 | -6 | 3 |
4 | 네팔/नेपालne | 3 | 0 | 0 | 3 | 1 | 5 | -4 | 0 |
2018년 8월 14일 16시(현지 시각),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시카랑)에서 열린 D조 첫 경기에서 베트남은 파키스탄을 3 – 0으로 완파했다. 베트남은 응웬 꽝 하이, 응웬 반 꾸엣, 응웬 꽁 프엉이 득점하며 막강한 공격력을 과시했다. 같은 날 19시, 일본은 미토마 카오루의 결승골로 네팔을 1 – 0으로 꺾고 승점 3점을 챙겼다.
2018년 8월 16일 16시, 일본은 이와사키 유토의 멀티골과 하타테 레오, 마에다 다이젠의 연속골로 파키스탄을 4 – 0으로 대파했다. 일본은 파키스탄을 압도하며 2연승을 달렸다. 같은 날 19시, 베트남은 응웬 안 득과 판 반 득의 득점에 힘입어 네팔을 2 – 0으로 꺾었다. 베트남은 2연승으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8년 8월 19일 16시, 패트리엇 스타디움(부카시)에서 열린 경기에서 파키스탄은 무함마드 비랄과 사담 후세인의 골로 네팔에 2 – 1로 승리했다. 파키스탄은 샤바즈 유누스의 자책골로 실점했지만, 후반에만 두 골을 몰아치며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시각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베트남의 경기에서는 응웬 꽝 하이가 경기 시작 3분 만에 선제골을 터뜨리며 베트남이 1 – 0으로 승리했다. 베트남은 조별 리그 3전 전승으로 D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일본은 조 2위로 16강에 합류했다. 이로써 D조에서는 베트남과 일본이 16강에 진출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말레이시아/Malaysiams | 3 | 2 | 0 | 1 | 7 | 5 | +2 | 6 |
2 | 대한민국한국어 | 3 | 2 | 0 | 1 | 8 | 2 | +6 | 6 |
3 | 바레인/Bahrainar | 3 | 1 | 1 | 1 | 5 | 10 | -5 | 4 |
4 | 키르기스스탄/Kyrgyzstanky | 3 | 0 | 1 | 2 | 3 | 6 | -3 | 1 |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바레인이 16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2018년 8월 17일 자락 하라팟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별 리그 경기에서 말레이시아에 1-2로 패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이란/ایرانfa | 3 | 1 | 1 | 1 | 3 | 2 | +1 | 4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ko-kp | 3 | 1 | 1 | 1 | 4 | 4 | 0 | 4 |
3 |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 | 3 | 1 | 1 | 1 | 3 | 3 | 0 | 4 |
4 | 미얀마/မြန်မာmy | 3 | 1 | 1 | 1 | 3 | 4 | -1 | 4 |
2018년 8월 15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얀마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두 경기 모두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8년 8월 17일, 이란은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미얀마는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0-3으로 패배했다.
2018년 8월 20일, 이란은 파트리오트 스타디움에서 미얀마에 0-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3-0으로 이겼다.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가 16강에 진출했다.
각 조 3위팀들 중 상위 4팀이 16강에 진출한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A조 홍콩 | 3 | 1 | 1 | 1 | 5 | 5 | 0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2 | F조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1 | 1 | 3 | 3 | 0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3 | E조 바레인 | 3 | 1 | 1 | 1 | 5 | 10 | -5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4 | C조 아랍에미리트 | 3 | 1 | 0 | 2 | 5 | 4 | +1 | 3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5 | D조 파키스탄 | 3 | 1 | 0 | 2 | 2 | 8 | -6 | 3 | 탈락 |
6 | B조 태국 | 3 | 0 | 2 | 1 | 2 | 3 | -1 | 2 | 탈락 |
결선 토너먼트는 2018년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무승부 시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당해 대회에서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개최되었다. 금메달은 결승전 승자에게, 은메달은 결승전 패자에게, 동메달은 3위 결정전 승자에게 각각 수여된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실시하고,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단, 3·4위 결정전은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실시하지 않고, 승부차기로 승패를 결정한다.[9]
2018년 8월 23일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시카랑)에서 열린 16강전에서 이란을 상대로 황의조와 이승우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날짜 | 시간 | 팀1 | 점수 | 팀2 | 득점1 | 득점2 | 경기장 | 관중수 | 심판 | 경기 보고서 |
---|---|---|---|---|---|---|---|---|---|---|
2018년 8월 23일 | 19:30 | 0 - 2 | 황의조 이승우 |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시카랑 | [https://en.asiangames2018.id/sport/football/event/football-men/match/fbm400404/ 레포트] |
2018년 8월 27일, 파트리엇 스타디움(보카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8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황의조는 이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전반 4분과 34분에 득점한 황의조는 후반 30분에 다시 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완성했고, 황희찬은 연장 후반 13분에 페널티킥으로 결승골을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의 마샤리포프는 전반 17분에, 알리바예프는 후반 8분과 10분에 각각 득점했다.
같은 날,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이와사키 유토가 전반 31분과 후반 28분에 득점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반 39분에 나온 타다 유고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파트리엇 스타디움에서 열린 시리아와 베트남의 경기는 연장전에서 응우옌 반 투안이 연장 후반 3분에 결승골을 넣어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아랍에미리트가 5-3으로 승리했다.
2018년 8월 29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베트남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승우는 2골(, )을 기록했고, 황의조는 1골()을 추가했다. 베트남은 응우옌 반 투안이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또 다른 준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아랍에미리트를 우에다 아야세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2018년 9월 1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아랍에미리트는 베트남과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차지했다. 응우옌 반 꾸엣이 전반 27분에 득점하여 베트남이 앞서갔지만, 아흐메드 알 아타스가 후반 19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2018년 9월 1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승우(이승우 (93분))와 황희찬(황희찬 (101분))이 득점하였고, 일본은 우에다 아야세가 115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에 이어 아시안 게임 축구 2연패를 달성했다. 특히, 손흥민은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대한민국의 우승에 기여하며 군 면제 혜택을 받게 되었다.
6. 1.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2018년 8월 10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든 참가국은 총 6개 조로 배정되어 조별로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들은 결선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들 중 조별 리그 성적 상위 4개 팀 또한 결선 토너먼트로 진출한다.결승 토너먼트에는 각 조의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상위 4팀이 진출한다. 각 조 3위 팀끼리 비교할 때는, 5팀이 있는 조의 팀에 대해서는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성적을 제외하고 비교한다.[4]
6. 1. 1. A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인도네시아/Indonesiaid | 4 | 3 | 0 | 1 | 11 | 3 | +8 | 9 | 16강 진출 |
2 | 팔레스타인/فلسطينar | 4 | 2 | 2 | 0 | 5 | 3 | +2 | 8 | 16강 진출 |
3 | 홍콩/香港중국어 | 4 | 2 | 1 | 1 | 9 | 5 | +4 | 7 | 16강 진출 |
4 | 라오스/ປະເທດລາວlo | 4 | 1 | 0 | 3 | 4 | 8 | -4 | 3 | 탈락 |
5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중국어 | 4 | 0 | 1 | 3 | 0 | 10 | -10 | 1 | 탈락 |
2018년 8월 10일, 쁘라보이 스타디움에서 열린 라오스와 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팔레스타인과 중화 타이베이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8년 8월 12일, 팔레스타인은 라오스를 2-1로 꺾었고, 중화 타이베이는 인도네시아에 0-4로 패했다.
2018년 8월 15일, 홍콩은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대파했고, 인도네시아는 팔레스타인에 1-2로 패했다.
2018년 8월 17일, 홍콩과 팔레스타인은 1-1 무승부를 거두었고, 라오스는 인도네시아에 0-3으로 패했다.
2018년 8월 20일, 인도네시아는 홍콩을 3-1로 꺾었고, 중화 타이베이는 라오스에 0-2로 패하며 A조의 모든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팔레스타인, 홍콩이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며 개최국의 자존심을 지켰다. 팔레스타인은 2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선전했고, 홍콩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조 3위로 16강에 합류했다. 반면, 라오스와 중화 타이베이는 각각 1승 3패, 1무 3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6. 1. 2. B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영어 | 3 | 3 | 0 | 0 | 10 | 0 | +10 | 9 |
2 | 방글라데시/Bangladesh영어 | 3 | 1 | 1 | 1 | 2 | 4 | -2 | 4 |
3 | 태국/Thailand영어 | 3 | 0 | 2 | 1 | 2 | 3 | -1 | 2 |
4 | 카타르/Qatar영어 | 3 | 0 | 1 | 2 | 1 | 8 | -7 | 1 |
2018년 8월 14일, 우즈베키스탄은 방글라데시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태국과 카타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8년 8월 16일, 방글라데시와 태국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카타르는 우즈베키스탄에 0-6으로 대패했다. 이 경기들은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2018년 8월 19일, 방글라데시는 카타르를 1-0으로 꺾었고, 태국은 우즈베키스탄에 0-1로 패배했다. 방글라데시와 카타르의 경기는 패트리어트 스타디움에서, 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는 파칸 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최종 결과, 우즈베키스탄과 방글라데시가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3전 전승을 기록,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여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6. 1. 3. C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3 | 3 | 0 | 0 | 11 | 1 | +10 | 9 |
2 | 시리아/시리아ar | 3 | 2 | 0 | 1 | 6 | 5 | +1 | 6 |
3 | 아랍에미리트/아랍에미리트ar | 3 | 1 | 0 | 2 | 5 | 4 | +1 | 3 |
4 | 동티모르/동티모르tet | 3 | 0 | 0 | 3 | 3 | 15 | -12 | 0 |
2018년 8월 14일 16:00 (UTC+7)에 '''중국'''은 '''동티모르'''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9:00 (UTC+7)에는 '''아랍에미리트'''가 '''시리아'''에 0-1로 패배했다.
2018년 8월 16일 16:00 (UTC+7)에 '''동티모르'''는 '''아랍에미리트'''에 1-4로 패배했다. 같은 날 19:00 (UTC+7)에 '''시리아'''는 '''중국'''에 0-3으로 완패했다.
2018년 8월 19일 19:00 (UTC+7), '''동티모르'''는 '''시리아'''에 2-5로 패배했다. 같은 시각, '''아랍에미리트'''는 '''중국'''에 1-2로 석패했다.
결과적으로 '''중국''', '''시리아''',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중국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반면, 동티모르는 3전 전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6. 1. 4. D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베트남/Việt Namvi | 3 | 3 | 0 | 0 | 6 | 0 | +6 | 9 |
2 | 일본/にほん일본어 | 3 | 2 | 0 | 1 | 5 | 1 | +4 | 6 |
3 | 파키스탄/پاکستانur | 3 | 1 | 0 | 2 | 2 | 8 | -6 | 3 |
4 | 네팔/नेपालne | 3 | 0 | 0 | 3 | 1 | 5 | -4 | 0 |
2018년 8월 14일 16시(현지 시각),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시카랑)에서 열린 D조 첫 경기에서 베트남은 파키스탄을 3 – 0으로 완파했다. 베트남은 응웬 꽝 하이, 응웬 반 꾸엣, 응웬 꽁 프엉이 득점하며 막강한 공격력을 과시했다. 같은 날 19시, 일본은 미토마 카오루의 결승골로 네팔을 1 – 0으로 꺾고 승점 3점을 챙겼다.
2018년 8월 16일 16시, 일본은 이와사키 유토의 멀티골과 하타테 레오, 마에다 다이젠의 연속골로 파키스탄을 4 – 0으로 대파했다. 일본은 파키스탄을 압도하며 2연승을 달렸다. 같은 날 19시, 베트남은 응웬 안 득과 판 반 득의 득점에 힘입어 네팔을 2 – 0으로 꺾었다. 베트남은 2연승으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8년 8월 19일 16시, 패트리엇 스타디움(부카시)에서 열린 경기에서 파키스탄은 무함마드 비랄과 사담 후세인의 골로 네팔에 2 – 1로 승리했다. 파키스탄은 샤바즈 유누스의 자책골로 실점했지만, 후반에만 두 골을 몰아치며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시각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베트남의 경기에서는 응웬 꽝 하이가 경기 시작 3분 만에 선제골을 터뜨리며 베트남이 1 – 0으로 승리했다. 베트남은 조별 리그 3전 전승으로 D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일본은 조 2위로 16강에 합류했다. 이로써 D조에서는 베트남과 일본이 16강에 진출했다.
6. 1. 5. E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말레이시아/Malaysiams | 3 | 2 | 0 | 1 | 7 | 5 | +2 | 6 |
2 | 대한민국한국어 | 3 | 2 | 0 | 1 | 8 | 2 | +6 | 6 |
3 | 바레인/Bahrainar | 3 | 1 | 1 | 1 | 5 | 10 | -5 | 4 |
4 | 키르기스스탄/Kyrgyzstanky | 3 | 0 | 1 | 2 | 3 | 6 | -3 | 1 |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바레인이 16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2018년 8월 17일 자락 하라팟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별 리그 경기에서 말레이시아에 1-2로 패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6. 1. 6. F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이란/ایرانfa | 3 | 1 | 1 | 1 | 3 | 2 | +1 | 4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ko-kp | 3 | 1 | 1 | 1 | 4 | 4 | 0 | 4 |
3 |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 | 3 | 1 | 1 | 1 | 3 | 3 | 0 | 4 |
4 | 미얀마/မြန်မာmy | 3 | 1 | 1 | 1 | 3 | 4 | -1 | 4 |
2018년 8월 15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얀마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두 경기 모두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8년 8월 17일, 이란은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미얀마는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0-3으로 패배했다.
2018년 8월 20일, 이란은 파트리오트 스타디움에서 미얀마에 0-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바와 무크티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3-0으로 이겼다.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가 16강에 진출했다.
6. 1. 7. 각 조 3위 팀 순위
각 조 3위팀들 중 상위 4팀이 16강에 진출한다.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A조 홍콩 | 3 | 1 | 1 | 1 | 5 | 5 | 0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2 | F조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1 | 1 | 3 | 3 | 0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3 | E조 바레인 | 3 | 1 | 1 | 1 | 5 | 10 | -5 | 4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4 | C조 아랍에미리트 | 3 | 1 | 0 | 2 | 5 | 4 | +1 | 3 | 결승 토너먼트 진출 |
5 | D조 파키스탄 | 3 | 1 | 0 | 2 | 2 | 8 | -6 | 3 | 탈락 |
6 | B조 태국 | 3 | 0 | 2 | 1 | 2 | 3 | -1 | 2 | 탈락 |
6. 2.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2018년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무승부 시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당해 대회에서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개최되었다. 금메달은 결승전 승자에게, 은메달은 결승전 패자에게, 동메달은 3위 결정전 승자에게 각각 수여된다.결선 토너먼트에서는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실시하고,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단, 3·4위 결정전은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실시하지 않고, 승부차기로 승패를 결정한다.[9]
; 16강전
2018년 8월 23일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치카랑)에서 열린 16강전에서 이란을 상대로 황의조와 이승우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날짜 | 시간 | 팀1 | 점수 | 팀2 | 득점1 | 득점2 | 경기장 | 관중수 | 심판 | 경기 보고서 |
---|---|---|---|---|---|---|---|---|---|---|
2018년 8월 23일 | 19:30 | 0 - 2 | 황의조 이승우 |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시카랑 | [https://en.asiangames2018.id/sport/football/event/football-men/match/fbm400404/ 레포트] |
; 8강전
2018년 8월 27일, 파트리엇 스타디움(부카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8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황의조는 이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전반 4분과 34분에 득점한 황의조는 후반 30분에 다시 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완성했고, 황희찬은 연장 후반 13분에 페널티킥으로 결승골을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의 마샤리포프는 전반 17분에, 알리바예프는 후반 8분과 10분에 각각 득점했다.
같은 날,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이와사키 유토가 전반 31분과 후반 28분에 득점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반 39분에 나온 타다 유고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파트리엇 스타디움에서 열린 시리아와 베트남의 경기는 연장전에서 응우옌 반 투안이 연장 후반 3분에 결승골을 넣어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아랍에미리트가 5-3으로 승리했다.
; 4강전
2018년 8월 29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베트남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승우는 2골(, )을 기록했고, 황의조는 1골()을 추가했다. 베트남은 응우옌 반 투안이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또 다른 준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아랍에미리트를 우에다 아야세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 동메달 결정전
2018년 9월 1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아랍에미리트는 베트남과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차지했다. 응우옌 반 꾸엣이 전반 27분에 득점하여 베트남이 앞서갔지만, 아흐메드 알 아타스가 후반 19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 결승전
2018년 9월 1일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승우(이승우 (93분))와 황희찬(황희찬 (101분))이 득점하였고, 일본은 우에다 아야세가 115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에 이어 아시안 게임 축구 2연패를 달성했다. 특히, 손흥민은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대한민국의 우승에 기여하며 군 면제 혜택을 받게 되었다.
6. 2. 1. 16강전
2018년 8월 23일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시카랑)에서 열린 16강전에서 이란을 상대로 황의조와 이승우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날짜 | 시간 | 팀1 | 점수 | 팀2 | 득점1 | 득점2 | 경기장 | 관중수 | 심판 | 경기 보고서 |
---|---|---|---|---|---|---|---|---|---|---|
2018년 8월 23일 | 19:30 | 0 - 2 | 황의조 이승우 |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시카랑 | [https://en.asiangames2018.id/sport/football/event/football-men/match/fbm400404/ 레포트] |
6. 2. 2. 8강전
2018년 8월 27일, 파트리엇 스타디움(보카시)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8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연장전 끝에 4-3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황의조는 이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전반 4분과 34분에 득점한 황의조는 후반 30분에 다시 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완성했고, 황희찬은 연장 후반 13분에 페널티킥으로 결승골을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의 마샤리포프는 전반 17분에, 알리바예프는 후반 8분과 10분에 각각 득점했다.같은 날, 파칸사리 스타디움(치비논)에서 열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이와사키 유토가 전반 31분과 후반 28분에 득점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반 39분에 나온 타다 유고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파트리엇 스타디움에서 열린 시리아와 베트남의 경기는 연장전에서 응우옌 반 투안이 연장 후반 3분에 결승골을 넣어 베트남이 1-0으로 승리했다.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아랍에미리트가 5-3으로 승리했다.
6. 2. 3. 4강전
2018년 8월 29일, 위크리크 스타디움(치비농)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베트남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승우는 2골(, )을 기록했고, 황의조는 1골()을 추가했다. 베트남은 응우옌 반 투안이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또 다른 준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아랍에미리트를 우에다 아야세의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6. 2. 4. 동메달 결정전
2018년 9월 1일, 파칸 경기장(치비논)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아랍에미리트는 베트남과 1-1로 비긴 후, 연장전을 거쳐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차지했다. 응우옌 반 꾸엣이 전반 27분에 득점하여 베트남이 앞서갔지만, 아흐메드 알 아타스가 후반 19분에 동점골을 넣었다.6. 2. 5. 결승전
2018년 9월 1일 쁘깐사리 스타디움(치비농)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승우(이승우 (93분))와 황희찬(황희찬 (101분))이 득점하였고, 일본은 우에다 아야세가 115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이로써 대한민국은 2014년 아시안 게임에 이어 아시안 게임 축구 2연패를 달성했다. 특히, 손흥민은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대한민국의 우승에 기여하며 군 면제 혜택을 받게 되었다.
7. 여자 축구
이 대회는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의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UTC+7) 기준이다.
'''조별 리그'''는 2018년 8월 16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든 참가국은 총 3개 조로 배정되어 조별로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들은 결선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들 중 조별 리그 성적 상위 2개 팀 또한 결선 토너먼트로 진출한다.
결승 토너먼트에는 각 조의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상위 2팀이 진출한다. 각 조 3위 팀끼리 비교할 때는, 4팀으로 구성된 조의 팀에 대해서는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4]
2018년 8월 16일, 대한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인도네시아는 몰디브를 6-0으로 대파했다.
8월 19일, 대한민국은 몰디브를 8-0으로 꺾었다. 중화 타이베이는 인도네시아를 4-0으로 이겼다.
8월 21일,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를 12-0으로 대파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몰디브를 7-0으로 꺾고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가 8강에 진출했다. 특히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중국 | 3 | 3 | 0 | 0 | 25 | 0 | +25 | 9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2 | 0 | 1 | 24 | 2 | +22 | 6 |
3 | 홍콩 | 3 | 1 | 0 | 2 | 6 | 16 | -10 | 3 |
4 | 타지키스탄 | 3 | 0 | 0 | 3 | 1 | 38 | -37 | 0 |
- 2018년 8월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타지키스탄을 16-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중국은 홍콩을 7-0으로 이겼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2018년 8월 20일, 타지키스탄은 중국에 0-16으로 크게 졌다. 같은 날 홍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8로 패했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2018년 8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에 0-2로 졌다. 같은 날 홍콩은 타지키스탄을 6-1로 꺾었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B조에서는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이 8강에 진출했다. 특히 중국은 막강한 화력을 뽐내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타지키스탄을 대파하는 등 저력을 과시했지만, 중국에 패하며 조 2위를 기록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일본/日本일본어 | 2 | 2 | 0 | 0 | 9 | 0 | +9 | 6 |
2 | 베트남/ベトナムvi | 2 | 1 | 0 | 1 | 3 | 9 | -6 | 3 |
3 | 태국/ไทยth | 2 | 0 | 0 | 2 | 2 | 5 | -3 | 0 |
2018년 8월 16일, 태국은 일본에 0-2로 패배하였다. 일본은 이와부치 마나의 선제골과 모미키 유카의 추가골로 승리하였다.
2018년 8월 19일, 베트남은 태국을 3-2로 꺾었다. 베트남은 응우옌 티 투엣 즌, 응우옌 투 반, 응우옌 투 리우가 득점하였고, 태국은 미란다 닐드와 핏차마이 손싸이가 득점하였다.
2018년 8월 21일, 일본은 베트남을 7-0으로 대파하였다. 스가사와 유이카 (2골), 모미키 유카, 나카지마 이미, 타나카 미나미 (2골), 마스야 리카가 득점하며 일본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게로라 슐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일본과 베트남이 8강에 진출하였다. 태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순위 |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태국 (C조) | 0 | 2 | 0 | 0 | 2 | 2 | 5 | -3 |
2 | 홍콩 (B조) | 0 | 2 | 0 | 0 | 2 | 0 | 15 | -15 |
3 | 인도네시아 (A조) | 0 | 2 | 0 | 0 | 2 | 0 | 16 | -16 |
각 조 3위팀 중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결선 토너먼트는 2018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무승부 시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당해 대회에서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개최되었다. 금메달은 결승전 승자에게, 은메달은 결승전 패자에게, 동메달은 동메달전 승자에게 각각 수여된다.
8강전은 2018년 8월 24일과 8월 25일에 진행되었다.
2018년 8월 24일, 대한민국은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과의 경기에서 전가을의 2골과 이근민, 문미라, 이민아의 연속골로 5-0 대승을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했다.
8월 25일에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와부치 마나와 하세가와 유이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꺾었다. 중국은 태국을 5-0으로 대파했다.
날짜 | 시간 | 팀1 | 스코어 | 팀2 | 경기장 |
---|---|---|---|---|---|
2018년 8월 24일 | 16:0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4일 | 19:30 | 0 - 0 (승부차기 4-3)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6:00 | 2 - 1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9:3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8월 28일 16시에 열린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에서, 스가사와 유이카 (菅澤優衣香일본어)의 선제골과 임성주의 자책골, 그리고 이민아의 만회골로 일본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날 19시 30분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중국의 경기는 중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2018년 8월 31일 16시(현지 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대만의 동메달 결정전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지소연(18분), 이근민(31분), 이민아(77분), 문미라(90분)의 골로 4-0 대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8년 8월 31일 16:00 | 4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8월 31일 19시 30분(현지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결승전에서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스가사와 유이카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일본어 | 1 - 0 | 중국}} |
---|---|---|
스가사와 유이카 {{br중국어 (90') |
7. 1.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2018년 8월 16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든 참가국은 총 3개 조로 배정되어 조별로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1위와 2위 팀들은 결선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하며, 각 조의 3위 팀들 중 조별 리그 성적 상위 2개 팀 또한 결선 토너먼트로 진출한다.결승 토너먼트에는 각 조의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상위 2팀이 진출한다. 각 조 3위 팀끼리 비교할 때는, 4팀으로 구성된 조의 팀에 대해서는 조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4]
7. 1. 1. A조
2018년 8월 16일, 대한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인도네시아는 몰디브를 6-0으로 대파했다.
8월 19일, 대한민국은 몰디브를 8-0으로 꺾었다. 중화 타이베이는 인도네시아를 4-0으로 이겼다.
8월 21일,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를 12-0으로 대파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몰디브를 7-0으로 꺾고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가 8강에 진출했다. 특히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7. 1. 2. B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중국 | 3 | 3 | 0 | 0 | 25 | 0 | +25 | 9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2 | 0 | 1 | 24 | 2 | +22 | 6 |
3 | 홍콩 | 3 | 1 | 0 | 2 | 6 | 16 | -10 | 3 |
4 | 타지키스탄 | 3 | 0 | 0 | 3 | 1 | 38 | -37 | 0 |
- 2018년 8월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타지키스탄을 16-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중국은 홍콩을 7-0으로 이겼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 2018년 8월 20일, 타지키스탄은 중국에 0-16으로 크게 졌다. 같은 날 홍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8로 패했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 2018년 8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에 0-2로 졌다. 같은 날 홍콩은 타지키스탄을 6-1로 꺾었다. 두 경기 모두 팔렘방의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B조에서는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이 8강에 진출했다. 특히 중국은 막강한 화력을 뽐내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타지키스탄을 대파하는 등 저력을 과시했지만, 중국에 패하며 조 2위를 기록했다.
7. 1. 3. C조
wikitext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일본/日本일본어 | 2 | 2 | 0 | 0 | 9 | 0 | +9 | 6 |
2 | 베트남/ベトナムvi | 2 | 1 | 0 | 1 | 3 | 9 | -6 | 3 |
3 | 태국/ไทยth | 2 | 0 | 0 | 2 | 2 | 5 | -3 | 0 |
2018년 8월 16일, 태국은 일본에 0-2로 패배하였다. 일본은 이와부치 마나의 선제골과 모미키 유카의 추가골로 승리하였다.
2018년 8월 19일, 베트남은 태국을 3-2로 꺾었다. 베트남은 응우옌 티 투엣 즌, 응우옌 투 반, 응우옌 투 리우가 득점하였고, 태국은 미란다 닐드와 핏차마이 손싸이가 득점하였다.
2018년 8월 21일, 일본은 베트남을 7-0으로 대파하였다. 스가사와 유이카 (2골), 모미키 유카, 나카지마 이미, 타나카 미나미 (2골), 마스야 리카가 득점하며 일본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게로라 슐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일본과 베트남이 8강에 진출하였다. 태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7. 1. 4. 각 조 3위 팀 순위
순위 |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태국 (C조) | 0 | 2 | 0 | 0 | 2 | 2 | 5 | -3 |
2 | 홍콩 (B조) | 0 | 2 | 0 | 0 | 2 | 0 | 15 | -15 |
3 | 인도네시아 (A조) | 0 | 2 | 0 | 0 | 2 | 0 | 16 | -16 |
각 조 3위팀 중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한다.
7. 2.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2018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무승부 시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당해 대회에서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개최되었다. 금메달은 결승전 승자에게, 은메달은 결승전 패자에게, 동메달은 동메달전 승자에게 각각 수여된다.8강전은 2018년 8월 24일과 8월 25일에 진행되었다.
2018년 8월 24일, 대한민국은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과의 경기에서 전가을의 2골과 이근민, 문미라, 이민아의 연속골로 5-0 대승을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했다.
8월 25일에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와부치 마나와 하세가와 유이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꺾었다. 중국은 태국을 5-0으로 대파했다.
날짜 | 시간 | 팀1 | 스코어 | 팀2 | 경기장 |
---|---|---|---|---|---|
2018년 8월 24일 | 16:0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4일 | 19:30 | 0 - 0 (승부차기 4-3)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6:00 | 2 - 1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9:3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8월 28일 16시에 열린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에서, 스가사와 유이카 (菅澤優衣香일본어)의 선제골과 임성주의 자책골, 그리고 이민아의 만회골로 일본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날 19시 30분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중국의 경기는 중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2018년 8월 31일 16시(현지 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대만의 동메달 결정전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지소연(18분), 이근민(31분), 이민아(77분), 문미라(90분)의 골로 4-0 대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8년 8월 31일 16:00 | 4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8월 31일 19시 30분(현지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결승전에서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스가사와 유이카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일본어 | 1 - 0 | 중국}} |
---|---|---|
스가사와 유이카 {{br중국어 (90') |
7. 2. 1. 8강전
8강전은 2018년 8월 24일과 8월 25일에 진행되었다.2018년 8월 24일, 대한민국은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과의 경기에서 전가을의 2골과 이근민, 문미라, 이민아의 연속골로 5-0 대승을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했다.
8월 25일에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와부치 마나와 하세가와 유이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꺾었다. 중국은 태국을 5-0으로 대파했다.
날짜 | 시간 | 팀1 | 스코어 | 팀2 | 경기장 |
---|---|---|---|---|---|
2018년 8월 24일 | 16:0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4일 | 19:30 | 0 - 0 (승부차기 4-3)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6:00 | 2 - 1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
2018년 8월 25일 | 19:30 | 5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7. 2. 2. 4강전
임성주(イム・ソンジュ)| stadium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attendance =
| referee =
| report = [https://en.asiangames2018.id/sport/football/event/football-women/match/fbw400201/?intcmp=ev-brackets 경기 결과]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4강전에서 1-2로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다.
{{축구 경기 결과
|date = 2018년 8월 28일
|time = 19:30
|team1 =
|score = 0 - 1
|team2 =
|goals1 =
|goals2 =
|stadium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attendance =
|referee =
|report =[https://en.asiangames2018.id/sport/football/event/football-women/match/fbw400202/ 경기 결과]
}}
7. 2. 3. 동메달 결정전
2018년 8월 31일 16시(현지 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대만의 동메달 결정전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이소연(18분), 이근민(31분), 이민아(77분), 문미라(90분)의 골로 4-0 대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text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8년 8월 31일 16:00 | 4 - 0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7. 2. 4. 결승전
2018년 8월 31일 19시 30분(현지시각)에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팔렘방)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결승전에서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스가사와 유이카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일본어 | 1 - 0 | 중국}} |
---|---|---|
스가사와 유이카 {{br중국어 (90') |
8. 메달 집계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
1 | 1 | 0 | 1 | 2 | |
1 | 1 | 1 | 0 | 2 | |
3 | 0 | 1 | 0 | 1 | |
4 | 0 | 0 | 1 | 1 |
9. 메달리스트
송범근
황현수
김민재
김진야
정태욱
김문환
손흥민
이진현
황희찬
황인범
나상호
이시영
조유민
장윤호
이승모
황의조
이승우
조현우
김건웅
김정민
코지마 료스케
나가누마 요이치
오카자키 마코토
이타쿠라 고
스기오카 다이키
하츠세 료
하라 테루키
미토마 가오루
하타테 레오
미요시 코지
엔도 케이타
오비나 오비 파월
이와사키 유토
마츠모토 타이시
우에다 아야세
와타나베 코타
마에다 다이젠
오미나미 타쿠마
타츠타 유고
술탄 알 만테리
압둘라 하산 알 누비
아메드 라셰드
살렘 술탄
이스마엘 칼레드
마제드 수루르
아메드 알 아타스
자심 야쿠브
칼레드 이브라힘
알리 에이드
압둘라흐만 알 아메리
압둘라 가넴
모하메드 알 아타스
후세인 압둘라
모하메드 알 샴시
하마드 자심
모하메드 칼판
샤힌 수루르
자예드 알 아메리
라셰드 모하메드
이케다 사키코
시미즈 리사
사메시마 아야
미야케 시오리
타카기 히카리
아리요시 사오리
나카지마 에미
이와부치 마나
스가사와 유이카
모미키 유카
타나카 미나
마스야 리카
나카사토 유
하세가와 유이
사카구치 모에노
스미다 린
쿠니타케 아이미
야마시타 아야카
자오리나
한펑
황이니
루쟈후이
우하이옌
린유핑
왕슈앙
리지아위에
런구이쉰
리잉
왕산산
왕옌
리팅팅
자오롱
샤오위위
양리나
구야샤
리멍원
비샤올린
장루이
윤영글
장슬기
신담영
심서연
홍혜지
임선주
이민아
조소현
전가을
지소연
이금민
문미라
한채린
최유리
장창
손화연
이현영
정보람
이은미
김혜리